“여행자 환전수수료, 중개수수료” 절감 가능.
“키오스크, 디지털 사이니지” 이용한 DAPP 개발 지원.
해외여행이 보편화되어 있고, 각 지자체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컨셉을 통해 내국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지역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여행 플랫폼이나 앱을 사용하여 여행과 페스티발, 맛집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며, 새로운 경험을 통한 휴식을 꿈꾸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랫폼들은 후기와 평가를 남긴 소비자들과 검색어 노출을 위한 마케팅 비용 등을 지출하는 여행업계에 전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테라새턴에서는 하이퍼큐브 플랫폼을 통하여 여행에 필요한 정보, 교통 및 숙박, 입장료 등 문화를 즐기고자 하는 여러가지 항목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여행상품에 대한 사전 안내 내용과 실제 서비스의 일치,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는 팩키지 등을 담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 이용자 모두에게 수익을 줄 수 있는 건전한 생태계 조성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주)테라새턴에서는 21일 하이퍼큐브 구현 및 DAPP 개발지원이 가능한 테스트넷(Test-Net) 개발을 완료했다고 발표하였다.
하이퍼큐브의 기능 중 하나는 블록 내 문서와 비공개 메시지(발신인과 수신인만 확인가능) 같은 다양한 정보를 담아 낼 수 있으며, 계약된 검증참여 업체를 이용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어, 블록생성에서 거래완료까지 과정에서 빠른 합의 처리가 가능하다고 하였다. 또한, 비용절감을 위해 계약조건이 충족될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는 “스마트컨트랙트”를 통해 중개자 수수료를 낮추고 환전수수료 등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이퍼큐브 Test-Net은 랜덤 노드 합의알고리즘(Random Node Consensus Algorism) GSDC(Group Selection Depth Counter) 방식을 개발하여, 계약된 기업의 검증참여 의한 신뢰성을 바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블록체인으로 구축 되었으며, 계약된 기업의 검증참여에 의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Hybrid) 블록체인 하이퍼큐브는,이번 테스트넷을 통해 트랜젝션 및 블록의 생성, 검증 참여자 관리, 비대칭 암호화 주소생성, H.P (Horizontal Partitioning)데이터 분산처리, 트래커 서비스를 통한 그룹 보유량(블록그룹) 조정, RNDGCA-GSDC 합의매커니즘 등을 구축하여 테스트를 진행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 하였다.
또한 트랜젝션, 블록생성에서 거래까지의 빠른 합의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검증된 피어가 합의를 도출해 최적의 메인넷 거래 처리속도는 상시로 5000 TPS 이상 트랜잭션 처리로 가능해 질것이며, 노드(Node)의 운영이 증가할수록 처리 속도는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하이퍼큐브 플랫폼의 차별화된 특징이라고 했다.
㈜테라새턴은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지난 8월 (재)안동축제관광재단과 MOU를 맺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와 키오스크 제품을 블록체인에 접목한 ‘씨히어체인’ 플랫폼을 개발하는 ㈜호모사이버스와도 DAPP 개발에 대한 MOA를 맺었다.
테라새턴 관계자는 현재 일부 지자체, DAPP 개발업체 등과 프로젝트 협업 내용에 대한 세부사항 조율 중이며, 2019년 1사분기 내 Main-Net 런칭을 목표로 실사용에 적합한 혁신적인 하이퍼큐브서비스를 선보이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 주요 키워드 설명
– TPS (Transactions Per Second) : 초당 트랜잭션의 수
– 노드 (Node) : 데이터 전송을 인식하고 처리(process)하거나 전달(forward)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수단.
– 검증 참여자 : 검증은 계약된 노드만 참여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구성원으로 검정 주소로 지정되고 블록생성, 데이터 신뢰성 검증 등
– 비대칭 암호화 주소생성 : Privat Key와 Public Key로 비대칭식 암호 구성 (해쉬 함수 A=RIPEMD160 및 SHA256이용) 하이퍼큐브 고유주소 생성
– H.P (Horizontal Partitioning) : 검증된 피어에 데이터 분산처리 기술 (※ 자세한 내용 백서 참조)
– 트래커 서비스 : 여러 개의 그룹을 소유한 피어 저장 용량, 블록데이터, 그룹 보유량을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기능
– RNDGCA (Random Node Dynamic Group Consensus Algorism) : 랜덤 노드 합의알고리즘으로 계약된 노드가 불특정 다수의 노드에게 질의를 하여 합의를 이끌어 내는 알고리즘.
– GSDC (Group Selection Depth Counter) : 발생 거래의 분산된 원장 수신 확인 방법으로 특정하지 않은 검증자가 같은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호수의 빗방울이 퍼지는 형태의 절차를 수행하는 합의 매커니즘.